12월28일 뉴욕 마감시황- 테슬라 11% 폭락 > 시황분석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시황분석

12월28일 뉴욕 마감시황- 테슬라 11% 폭락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그리드
  • 댓글 0건
  • 조회 154회
  • 작성일 22-12-28 07:26

본문

 

이날 뉴욕증시는 중국 코로나19 방역 해제 소식에 대한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美 국채금리가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주요 기술주들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혼조세로 장을 마감. 

 

다우지수가 0.11% 상승한 반면, S&P500지수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0.40%, 1.38% 하락.

 

 

 

 

  • 중국 '제로 코로나' 정책 폐기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기하며 내년 1월8일부터 코로나19 방역 규제를 해제했음.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와 국무원 합동방역기구 등 방역 당국은 다음달 8일부터 코로나19에 적용해온 '갑(甲)'류 감염병 방역 조치를 해제하기로 결정. 이번 조치로 내년 1월8일부터 해외발 중국 입국자는 지정된 호텔 등 별도의 격리시설을 거치지 않고, 일정기간 재택 격리 또는 건강 모니터링만 하게 될 예정이며, 중국에 입국하려는 사람에 대한 방역 관련 요구 사항도 간소화했음. 이는 중국이 엄격한 전염병 갑류 방역 조치를 시행한 이후 약 3년 만에 조정한 것으로, 중국의 본격적인 리오프닝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

 

 

 

 

  • 테슬라 11% 폭락

 

테슬라가 중국 상하이 공장의 생산량을 줄인다는 소식 이후 11% 넘게 폭락했습니다. 테슬라 주식은 7거래일째 떨어졌는데 이번 매도세에 주가는 27% 내려와 2020년 9월 이후 최저 수준입니다. 올 들어 테슬라 주가는 69% 밀려 창사 이후 연간 최대 낙폭을 그릴 것이 확정적입니다.

 

 

 

 

 

  • 美 국채금리 상승세 

 

美 국채금리가 상승세를 보이면서 밸류에이션 부담이 큰 주요 기술주들의 약세가 두드러짐. 크리스마스 연휴 휴장을 마치고 연말 장세에 접어든 가운데, 최근 발표된 인플레이션 지표가 둔화된 모습을 보이면서 내년 美 경기에 대한 긍정적 전망이 부각되는 모습. 이에 경기 침체 우려가 일부 완화됐고 美 국채금리가 상승세를 기록. 10년물과 2년물 국채금리 격차는 마이너스폭이 축소됐음. 

 

 

 

 

  • 발표된 주요 경제지표는 엇갈린 모습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11월 제조업체들의 기업활동 지수는 마이너스(-) 18.8로 전월 -14.4보다 더 하락하면서 8개월째 마이너스를 이어갔음. 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가 집계한 계절 조정 기준 10월 전미 주택가격지수는 전월대비 0.5% 하락하면서 4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음. 美 상무부가 발표한 11월 상품수지 적자는 전월대비 15.6% 급감한 833억 달러를 기록해 거의 2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급감했음. 

 

 

 

 

  • 국제유가

 

러시아, 원유상한제 국가 수출금지 발표 속 약보합 마감.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2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0.03달러(-0.04%) 하락한 79.53달러에 거래 마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탑버튼

사이트 정보

(주)데일리에이치ㅣ대표:황병체사업자 등록번호:292-88-02357
경기 성남시 분당구 운중로 142 판교메디컬타워 9층 901호
Tel 070-7701-8200ㅣFax 031-707-7736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이태균
Copyright 데일리에이치 All Rights Reserved

family-site 패밀리 사이트 드롭다운 아이콘 패밀리 사이트 드롭다운 아이콘

투자 위험 고지

게시된 정보는 단순히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추천이 아닙니다. 파이낸스인포에서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